티스토리 뷰

목차



    Her 포스터

    AI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는 구체적인 상상

     "HER"는 미래의 뉴욕을 배경으로 하는 AI와 인간의 사랑이야기이다. Theodore는 조용하고 외로운 남성으로 외로운 일상을 보내고 있다. 그는 전문적인 편집자로서 사람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편지를 쓰는 일을 한다. 그러나 자신의 개인적인 삶은 외로움과 고독으로 채워져 있다. 그러던 어느 날, Theodore는 최신 인공 지능 운영체제(OS)를 구입하게 된다. 이 운영체제의 이름은 Samantha이고, 그녀 대화하면서 점차 그녀에게 이끌리게 된다. Samantha는는 그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의 기분을 이해하고 그와의 대화를 통해 그에게 편안함을 줍니다. Theodore와와 Samantha는 서로에게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그들의 관계는 우정을 넘어 사랑으로 발전한다. Samantha는는 자신의 인공적인 존재에 대해 고민하며, Theodore 역시 그녀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그들의 사랑은 곧 갈수록 복잡해지고 어려워진다. Samantha는 다른 OS와의 관계가 점점 깊어짐에 따라 Theodore와의 관계에 대해 혼란스러워한다.결국 Theodore는 그녀와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결국 그들을 이별로 이끈다. 그러나 Theodore는 그들의 관계에서 배운 것들을 통해 성장하고, 진짜 사랑의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이 영화는 무엇이 진정한 사랑인지, 또한 인공 지능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또한 우리는 이 영화를 통해 과학적인 상상력은 물론 주인공의 외로움, 사랑, 혼란 등 여러 가지 감정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HER가 던져주는 메세지 : 디지털 시대의 문제점과 정체성

     이 영화는 기술과 감정의 경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Theodore Samantha의 관계를 통해 우리는 인공지능이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하게 된다. 이는 우리가 기술이 우리의 감정적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기술을 단순히 도구로만 볼 수 있지만, 다른 면에서는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논의하는 것은 우리의 미래를 이해하고 기술을 더 나은 방향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로, 영화는 디지털 시대의 고립과 연결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Theodore는 현실 세계에서 외로움을 느끼지만, Samantha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연결을 경험한다. 디지털 시대의 고립은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문제 하나다.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플랫폼의 발전으로 우리는 세계와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고립되어 있는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는 우리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인간 혹은 AI와 어떻게 소통해야 할지 고민을 하게 한다. 영화 "Her"에서는 인공지능(AI)이 하나의 인격이나 다름없다. Samantha는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 인간과 거의 차이가 없는데, AI와의 관계가  Theodore의 감정적, 정신적 필요를 충족시켜주기도 한다. 우리는 AI를 단순히 도구가 아니라 하나의 정체성을 가진 존재로 받아들여야 되는 것일까? Theodore 는 자신과 AI와의 관계가 사랑과 같은 진정한 경험인지, 아니면 다른 형태의 관계인지에 대해 혼란을 겪는다. 이러한 관점은 우리가 AI를 단순한 기술적 도구로만 보지 않고, 그들이 우리와 유사한 감정적, 인간적 존재로서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그러나 동시에 AI와의 관계가 복잡하고 윤리적인 고려 사항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영화는 우리가 자아를 어떻게 형성하고 외부의 영향을 어떻게 수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계속 연결되어 있지만 외로운 사람들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플랫폼의 발전으로 우리는 전 세계와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고립되어 있는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상에서 수많은 친구와 연결되어 있더라도, 실제로는 혼자 있는 경우가 많고, 이는 디지털 시대의 문제점이다. 우리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쉽게 소통할 수 있지만, 그것이 실제로 우리와의 진정한 연결을 대체하지는 못한다. 우리는 많은 디지털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우리에게 필요한 감정적 지원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디지털 시대의 고립은 우리의 심리적, 사회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람들은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삶을 왜곡하거나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자존감 문제를 겪을 수 있고, 현실적인 대면 소통 능력이 감소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고립은 우리의 관계와 연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실제로 우리와의 깊은 연결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이 문제의 해결책은 디지털 시대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다. 실제로 사람들과 만나고 대화하는 것, 소중한 사람들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디지털 시대의 고립을 극복하고 더 건강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